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베르사이유의장미 올훼이스의창 작가 이케다 리요코에 관해...
만화 좋아한다는 사람 치고 한때 이케다 리요코에 빠져 있지 않아본 사람이 있을까?
있다면 그 사람은 무협만화만 보는 사람이거나 아니면 그야말로 심지가 아주 굳은
사람이거나 둘중 하나일 것이다. 그만큼 어린 가슴을 뒤흔들어 놓던 그 열풍이 대단했었다.
지금 보면 어딘지 촌스럽지만 그 당시엔 그리도 매끄럽고 유려하다 생각되던 그림체.
혁명의 한가운데에서 싹트는 사랑. 그 사랑을 방해하는 격동의 세월. 프랑스 혁명과 러시아
혁명을 통해 이어지던 그 세월의 장구함에 나는 일찍이 사랑에 대한 환상을 접지 못했다.
나도 이런 사랑을 하고 싶어. 언젠간 할 수 있을거야 하던 그런 환상.
내 청춘은 만화 속에 빠져 허우적대다가 다 가버렸다. 문득 눈을 뜨고 현실을 직시해보니
사실 별로 높지도 않은 눈인데 사람들은 내 콧대가 하늘을 찌르는 줄로만 알고 있었고 이젠
누구 소개 시켜준다는 사람도 없더라는 불쌍한 현실이 되어 버렸다. 얘들아, 나 별로 눈 안높아.
그냥 혁명만 하면 돼.^^ 아마도 사람 만나는걸 지극히 두려워 하는 폐쇄적 성격도 이때부터
굳혀지지 않았나 싶은데... 사람 만나는 것 보다 틀어밖혀서 글자 읽는 것만 좋았으니 말이다.
아아~~~ 만화가 멀쩡한 애 잡았다라고 한탄하는 동시에 그 배경 언저리에 깔려 있던 작가가
바로 이 이케다 리요코이다라는 사실...
"올훼스의 창 "이 후반부로 가면서 그림체도 바뀌고 엔딩도 미흡해서 이케다 리요코라는 작가가
"올훼스의 창 "을 그리던 도중에 병으로 죽었다라는 소문이 있었다. 그래서 제자가 완성한 거라고...
그땐 당연히 그 소문이 진짜인줄 알았었다. 그런데 죽기는커녕 몇 년 전에는 50이 넘어서 음대엔가
를 들어갔다고 해서 화제의 인물이 되었다. 그때 죽었던 거 아냐? 하고 놀랐던 기억이라니...
이 작가의 피는 아주 뜨거운가 보다. 자신의 작품에도 폭풍같은 사랑을 그려놓더니 단지 작품속에
등장시키는 것만으로는 모자랐나 보다. 은행 간부인 남편을 두고 여러 스캔들을 일으키더니 급기야
는 그 뭐랄까 ‘사랑의 도피’까지 했었다고... 그래서 만화계에서 멀어져 갔다고... 대부분은 대리만족
으로 그치고 마는데 이 정도쯤 되면 그 피는 뜨거운 것으로도 모자라 펄펄 끓는다고 해야 하지 않을
까.
지금에 와서는 한낱 추억이 되었지만 그래도 한때 이 작가의 작품을 읽으며 밤을 새웠던 적이
있었다. 그것은 소나기였다. 그렇게 퍼붓더니만 언제 그랬냐는 듯이 다시 쨍쨍해진다.
그래도 한때나마 내리던 소나기는 거짓이 아니었다. 적어도 그때는 옷 젓는줄 모르고 흠뻑
그 비를 맞았었다. 그게 최고인줄 알았다.
작가 이케다 리요코(池田理代子)는 바로 이렇게 생긴 사람이다.
용모나 말하는 거나, 귀엽고 여성스럽다.
1947년생이니 육순.. 거의 내 부모 세대의 연령이고,
<베르사이유의 장미>로 전 아시아에 명성을 떨치기 시작한 게 아직 서른을 넘기지 않은 나이였으니
나름 대단했다. 일본에서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인기는 아직도 대단해서, 같은 내용의 뮤지컬까지 수 차례 재공연되고 2005년에는 한국에서까지 출장공연되었다.
오사카 출신으로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고[1] 1967년 《장미 저택의 소녀》(バラ屋敷の少女)로 데뷔하였다. 1972년부터 일본 슈에이샤의 소녀 만화 잡지 《주간 마가렛》(週刊マーガレット)에 대표작 《베르사유의 장미》를 연재하기 시작하였다. 혁명 전후의 프랑스를 배경으로 하는 《베르사유의 장미》는 단행본이 1200만부가 팔리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고[1] 후에 애니메이션과 다카라즈카 가극으로도 만들어졌다. 한때 성악가를 지망하여 만화계를 떠났지만 1999년부터 다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근작인 《니벨룽의 반지》(ニーベルンクの指輪, 4권, 2001년 ~ 2002년, 슈에이샤 발행)는 바그너의 동명 오페라를 만화화한 것이다.
이케다 리요코의 작품인 《베르사유의 장미》와 《올훼스의 창》(オルフェウスの窓)은 대한민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어, 서양을 배경으로 한 시대물이 1980년대 순정 만화의 주류를 형성하게 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05년부터 《베르바라kids》(ベルばらkids)을 아사히신문에 연재하고 있으며, 2007년 9월 25일부터 배용준 주연의 드라마 《태왕사신기》의 만화판을 고단샤의 정보주간지 《TOKYO★1주간(TOKYO★1週間)》과 《KANSAI 1주간(KANSAI1週間)》에 연재하기 시작하였다.[2]
2009년 《베르사이유의 장미》를 통해 프랑스의 역사와 문화를 알린 공로를 인정받아 레종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3]
작품 목록[편집]
- 1967년
- 《장미 저택의 소녀》(バラ屋敷の少女)
- 1972년
- 《베르사유의 장미》
- 《여제 에카테리나》(女帝エカテリーナ)
- 1975년
- 《디어 브라더》(おにいさまへ…)
- 《올훼스의 창》(オルフェウスの窓)
- 1979년
- 《클로딘...!》(クローディーヌ…!)
- 1986년
- 《에로이카》(栄光のナポレオン - エロイカ)
- 2001년
- 《니벨룽의 반지》(ニーベルンクの指輪)
"프랑스 사람들이 일본 여자분들은 프랑스 혁명 전개와 마리 앙뜨와네뜨에 대해 어쩌면 그렇게 자세히 아느냐고 묻는댑니다.." 하고 이케다가 깔깔거린다.
삶
이 순탄하지 않았던지, 작가는 별로 행복하지 않은 어린시절에 두 차례의 결혼에 심각한 갱년기 장애까지 겪다가 어느 순간 이렇게
살아서는 안되겠다고 정신차리고 95년 만 48세의 나이로 음대 학부에 입학해 옛날부터 공부하고 싶던 성악을 배워 졸업했다 한다. 한
곡 뽑는데 제법이다.
재
밌는 것은 요즘 태왕사신기를 만화작업하느라 바쁘다고 한다. 일본 TV에서 방송하는 스케줄에 발맞추어 한 권씩 출간하되 계약상
이케다에게 어느 정도 이야기를 가감할 자유를 주었다는 것이다. 욘사마의 얼굴을 어떤 식으로 표현할까 고민하다가 여성적이고 부드러운
얼굴선을 보면서 오스카 같이 그리면 되겠다는 착상을 했다 한다. 오스칼과 욘사마라.. 상상도 못한 연관성이다.
베르사이유의 장미’로 순정만화의 역사를 다시 쓰다, 이케다 리요코
73년 일본에서 있었던 일이다. 한 여학생이 수업 중 갑자기 눈물을 흘린다. 그러자 다른 학생들도 따라 울기 시작한다. 당황한 선생님이 이유를 묻자, 한 여학생이 대답한다.
‘오스칼이 죽었어요.’
오스칼은 일본에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순정만화 ‘베르사이유의 장미 (ベルサイユのばら)’의 주인공이다. 만화 연재 중 주인공 오스칼이 총에 맞아 죽는 표현이 나오자, 많은 여학생들이 실의에 빠졌다.
위의 일화가 보여주듯,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끌며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작가 이케다 리요코 (池田理代子, 1947~) 역시 전설로 기억되고 있다.
<이케다 리요코와 베르사이유의 장미>
단지 먹고 살기 위해 만화를 그리다
팬들이 들으면 배신감을 느낄지도 모를 일이지만, 이케다는 여느 만화가들과는 달리 만화가 좋아서라기보다는 오로지 생계를 위해서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1947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난 그녀는 학자를 꿈꾸며 도쿄 교육대학 철학과에 입학하지만, 여자가 대학에 가는 일을 탐탁치 않게 여겼던 부친은 생활비와 학비를 1년밖에 지원해줄 수 없다는 통보를 내린다. 그래서 그녀는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닥치는 대로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대본소용 만화 그리는 일을 시작하게 된다. 비록 그녀가 원해서 시작한 일은 아니지만, 그녀의 만화는 업계로부터 인정을 받았다. 그리하여 그녀는 1967년에 소녀 만화 잡지‘주간 마가렛 (週刊マ-ガレット)’에 <장미 저택의 소녀>를 연재하기 시작하면서 만화가로서 정식 데뷔하게 된다.
일본을 뜨겁게 달군 ‘베르바라’ 열풍
아예 학교도 그만두고 본격적으로 만화가로 일하던 이케다는,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왔던 프랑스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의 일생을 만화로 그릴 결심을 하게 된다. 그렇지만 연애, 학교, 가족 이야기 일색이었던 일본 순정만화계에 역사물이라는 장르는 매우 생소한 분야였다. 담당 편집자는 ‘역사물이 여자애들한테 먹힐 리 없어.’라며, 인기가 없으면 연재를 그만둔다는 조건을 내걸고 그녀가 역사물을 연재하는 일을 허락한다. 그렇게 해서 시작하게 된 것이 ‘베르사이유의 장미’이다. 비록 당시의 출판사는 전혀 상상도 하지 못했지만 이 작품은 전후무후한 인기를 끌며 아주 오랫동안 일본인의 마음을 사로잡게 된다.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프랑스 혁명의 열기가 지배하던 18세기 프랑스를 배경으로, 군인 집안에서 태어나 가업을 잇기 위해 어린 시절부터 남자로 키워진 남장여인 오스칼 프랑수아와 루이 16세의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의 파란만장한 삶을 통해 혁명을 둘러싼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삶과 사랑, 열정과 운명을 그려낸 대하 역사 드라마이다. 1972년부터73년까지 83주간 ‘주간 소녀 마가렛’으르 통해 연재되던 이 만화는, 단행본으로 1200만부가 팔릴 정도로 큰 인기를 끌게 된다.
독자들은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아름다운 그림체와 치밀하고 박진감 넘치면서도 소녀의 감성을 자극하는 스토리, 매력적인 등장인물에 열광했다. 베르사이유의 장미를 통해 사람들은 더이상 만화를 유치한 오락거리가 아닌 예술 작품으로 인정하기 시작했으며, 순정만화를 무시하던 남성들도 순정만화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된다.
당시 일본에서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단순한 베스트셀러를 넘어서, 하나의 사회현상이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쳤다.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줄임말 ‘베르바라’(‘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일본어 발음을 줄인 것)는 일반명사화 되어 ‘베르바라풍 인테리어’, ‘베르바라적 범죄’, 등 다양한 신조어를 만들어냈다. 대학 불문과에는 갑자기 지원자가 몰렸고, 프랑스의 베르사이유 궁은 프랑스인들이 어리둥절해 할 정도로 일본 관광객으로 넘쳐났다.
<2008년 히로시마에서 열린 ‘베르사이유의 장미 전’.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심지어 이케다는 2008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프랑스와 일본의 문화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이유로 ‘레종 드뇌브 훈장’을 수여받기까지 한다.
이케다로 인해 일본 만화계는 한 단계 더 성숙하게 된다. 아기자기한 장난감에 불과했던 순정만화는 철학과 미학을 담는 그릇이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순정만화의 새로운 가능성에 눈을 뜨게 되었다.
인생도 만화처럼 드라마틱하게
베르사이유의 장미로 인해 대성공을 거둔 그녀지만, 비극적인 삶으로 인해 오히려 더 매력적이었던 그녀 만화의 등장인물들처럼 그녀의 인생 역시 완벽하지만은 않았다. 젊은 시절엔 부모의 반대로 인해 학업이 좌절되었고, 두 번이나 이혼을 경험했다. 그렇지만 그녀는 놀랄 만한 에너지를 가지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목숨을 걸었다. 젊은 나이에 이미 눈부신 성공을 거두었지만, 거기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꿈을 쫓는 삶을 살았다. 그녀는 베르사이유의 장미 이후에도 <올훼스의 창>, <디어 브라더> 등 작품성과 대중성을 고루 겸비한 뛰어난 작품들을 발표하며 일본 순정만화의 질적 수준을 높인다.
그러다가 48살이 되던 해인 95년,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꿈꿔왔던 음악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늦은 나이로 도쿄 음악대학 성악과에 입학한다. 많은 사람들이 일시적인 변덕에 불과할 거라며 비웃었지만, 물불 안 가리는 노력파인 그녀는 사람들의 비웃음울 무시하기라도 하듯, 학업을 무사히 끝마치고 오페라 가수로 활약하기도 한다.
최근 이케다는 다시 펜을 잡았다. 지난 2007년엔 배용준 주연의 한국 드라마 ‘태왕사신기’의 만화 작업을 하기도 했다. 이미 환갑을 넘긴 그녀지만 그녀의 다음 행보가 어디일지는, 다음 회를 예측할 수 없어 조마조마한 그녀의 만화처럼 어느 누구도 알 수 없다. 그렇지만 그녀가 ‘베르사이유의 장미’에서 그려낸 열정과 동질의 열정은, 영원히 빛바래지 않을 것이다.
-
?
-
?
글 잘봤습니다
다시보고싶당 ㅜㅜ
누가 올려주세요... -
?
밑에 베르사유의장미 올훼이스창 모두 올려놨습니다
http://naver3.com/member_free_source
Designed by hikaru100
비극적이라 기분이 좀 뭐라고할까..
여하튼
저도 엄청 빠지게했었죠
정말 만화를 한차원 끌어다 올렸다고 생각해요
만화이상의 작품이였습니다
그리고
작가에대해 새롭게 많이 알게되였네요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