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먹거나 마시는 '비타민 C' 오해와 진실

by 구름사냥 on Nov 19, 2016
?

단축키

이전 문서

다음 문서

ESC닫기

+ - Viewer Up Down Comment Print
GGGHaaa


국내 웬만한 제약회사들이 제조∙판매하는 비타민C 제재의 함량과 가격이 제 각각이기에 스마트한 선택과 복용을 위해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가 요구된다. 

비타민C, 알약·음료수 상관없이 효능은 비슷…1일 최대 섭취 함량은? 

식약처에서 권장하는 성인 남녀의 비타민C 평균 필요량은 75㎎/일 이며, 권장량은 100㎎/일이다. 반면에 세계보건기구에서 권하는 비타민C 하루 권장량은 1000mg이다. 

비타민C는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이라고도 불리며 수용성이기 때문에 알약이나 음료수로 많이 섭취해도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2000㎎을 넘게 섭취할 경우 신장결석이나 구역질, 설사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니 1일 2000㎎ 이내로 섭취하시는 것이 좋다. 

일단 우리 몸에서 비타민C가 부족하면 생기는 대표 질환으로 괴혈병이다. 증상으로는 빈혈, 피부탈색, 치아유실, 안구건조, 구강건조, 골절, 전신 부종, 출혈 경향성, 권태감, 뼈의 변형, 관절통 등이다. 

비타민 C는 피로•스트레스 해소, 면역력 향상, 혈관건강유지, 항암효과, 콜라겐 형성에 영향, 피부미용에 효과적이다. 

콜라겐 합성, 항산화제로의 작용, 소장에서 철분의 흡수를 돕고 카르니틴의 생합성 및 면역기능에 관여하는 비타민이다. 부족하면 괴혈병, 결체조직의 이상, 뼈통증, 골절, 설사 등이 생기고, 과잉되면 메스꺼움, 복통, 설사 등이 생긴다. 

'비타민 C' 원료의 원산지가 보다는 순도가 중요하다? 

국내 대표적인 비타민C 단일제제로는 ‘고려은단(대표 조영조) 비타민C 1000’, ‘유한양행(대표 이정희)비타민1000’, ‘동아제약(대표 강정석) 비타민 1000’, ‘종근당(대표 김영주) 비타민 1000’ 가 있다. 

그 중 국내 비타민C 제품 판매율 1위는 ‘고려은단 비타민C 1000’으로 2016년 목표 판매액은 630억 원으로 2015년 기준 전체 매출의 80%이상을 비타민이 차지했다. 고려은단은 지난 2014년 총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53억원, 34억원으로 건강기능식품 제조사 생산규모 상위 12위에 불과했지만 2015년에는 메르스로 인해 비타민 열풍이 불며 총 매출액 618억원, 영업이익 99억원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면 생산규모 상위 3위에 올랐다. 

국내 고함량 비타민C 보충제 시장점유율은 2015년 기준해 고려은단이 73%로 1위, 유한양행이 14.2%로 2위를 차지했다. 

제약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고려은단이 다른 제약회사에 비해 비타민C에 대해 현격한 매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영국산 비타민C 원료’를 강조하며 ‘유재석’이라는 국민스타를 기용한 스타광고 등으로 고객과의 신뢰를 구축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원료 원산지·가격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전세계적으로 비타민C 원료를 생산하는 곳은 영국과 중국 두 곳뿐이다. 국내 제약회사들은 대부분 비타민C  원료를 중국에서 수입해 제조한다. 

비타민C 원료가 영국산이라고 특별히 좋은 점이 없고, 중국산이라고 영국산 보다 나쁘지 않다는 점이다. 

제약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 의약품은 모두 순도 테스트를 해야 하기 때문에 상관없다. 

‘중국산보다 비타민C가 좋다’고 주장하려면 해당 제약회사(고려은단)에서 순도테스트 등 자료를 공개해야만 효과가 있다” 며 “영국이건 중국이건 어떤 나라에서 만들어졌다는 것과는 상관없고, 단지 영국이 우리나라보다 선진국이고 의약품 관리가 잘 되고 있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가격도 제각각으로 예를 들어 옥션 인터넷 마켓 기준 가격으로 ‘고려은단 비타민C 1000’의 경우 120정에 10,040원이고, ‘동아제약 비타민 1000’은 100정에 5,580원으로 비타민C 1개당 각각 83.67원, 55.8원으로 차이가 난다. 

이에 소비자들은 비타민C를 세계보건기구에서 권하는 하루 권장량은 1000mg만큼 꾸준히 정량 복용하는 것이 효능을 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점이다. 

한편 의약품으로 분류되는 비타민제와 달리 식품위생법 적용 받는 비타민 C가 함유된 혼합음료는 용법∙용량의 기재가 필요하지 않다. 현재 국내 출시되는 마시는 비타민C 함유 음료는 무려 30여 종에 이르기에 매일 규칙적으로 비타민C을 복용하는 경우 하루 권장량을 초과하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출처 
http://naver.me/5pxQJsXc 

Articles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Designed by hikaru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